친족간 호칭법- 1 | ||||||
※ 친족(親族) : 촌수가 가까운 겨레붙이(자가와 같은 성(姓))로서 사종(四從, 십촌뻘되는 형제 자매) 이내를 말한다. | ||||||
<보기> |
● (문)은 편지(便紙)를 올리거나 문장(文章), 글쓰기에 | |||||
1. 근친간 호칭(近親間呼稱) | ||||||
대상자 |
내가 부를 때 |
나를 부를 때 |
내가 남에게 말할때 |
남이 나에게 말할 때 |
나에게 자신을 말할때 | |
조부(祖父) |
생존 |
할아버지(祖父) |
저[(시)도 같음 |
조부(祖父) |
조부장(祖父丈) |
조부(祖父) |
사후 |
(제)현조고(懸祖考) |
(문) 고손(高孫) |
조고(祖考) |
왕대인(王大人) |
||
조모(祖母) |
생존 |
할머니,(시)할머님 |
(조부와 같음) |
조모(祖母) |
왕대부인(王大夫人) |
조모(祖母) |
사후 |
(제)현조비(顯祖비) |
(문) 애손(哀孫) |
조비(祖비) [女+比] |
선왕대부인 |
||
부(父) |
생존 |
아버지 |
저[(시)도 같음 |
가친(家親) |
춘부장(春府丈) |
부(父), 나, |
사후 |
(제)현고(顯考) |
(문) 고자(孤子) |
선고(先考) |
대인(大人) |
||
모(母) |
생존 |
어머니 |
(부와 같음) |
자친(慈親) |
자당(慈堂), 훤당(萱堂) |
모(母), 나, 에미 |
사후 |
(제)현비(顯비) |
(문) 애자(哀子) |
선비(先비) |
대부인(大夫人) |
||
부모 동시 |
생존 |
부모님 |
(위와 같음) |
양친(兩親) |
양당(兩堂) |
우리내외(內外) |
사후 |
(위와 같음) |
(문)고애자(孤哀子) |
선고비 양위 |
선대인양위 |
||
남편 |
생존 |
당신, 여보 |
저, 나 |
남편, 주인,바깥양반 |
현군(賢君), 영군자(令君子), |
나 |
사후 |
(제)현벽(顯벽) |
(제) 주부(主婦) |
망부(亡夫) |
선영군자(先令君子) |
||
아내 |
생존 |
당신, 여보, 마누라 |
나 |
내자(內子), 안사람 |
부인(夫人), 영부인 |
저, 나 |
사후 |
(제)망실(亡室),고실 |
(제) 부(夫) |
망처(亡妻) |
고영부인(故令夫人) |
||
아들 |
이름이나별명(字), 애 |
애비, 에미, 나 |
자식, 가아(家兒) |
자제, 영식(令息) |
저, 나, 소자(小子) | |
딸 |
이름이나 별명 |
(아들과 같음) |
딸,여아(女兒), 여식 |
따님, 영애(令愛) |
저, 나, 여식(女息) | |
손자 |
이름이나 별명 |
나,할아버지,조부 |
손아(孫兒),손녀(孫女), 가손(家孫) |
영포(令抱) |
저, 나, 소손(小孫) |
친족간 호칭법- 2 | |||||
<보기> |
● (문)은 편지(便紙)를 올리거나 문장(文章), 글쓰기에 | ||||
1. 근친간 호칭(近親間呼稱) - 계속 | |||||
대상자 |
내가 부를 때 |
나를 부를 때 |
내가 남에게 말할때 |
남이 나에게 말할 때 |
나에게 자신을 말할때 |
형(兄) |
자기가 결혼전에는 형, 결혼후는 형님, |
저,나,동생, 아우, |
사형(舍兄), |
큰형 |
나, 형, |
제(弟) |
이름이나 별명 |
나, 형(兄) |
아우, 동생, 사제(舍弟), 가제(家弟) |
제씨(弟氏) |
나, 저 |
제수(弟嫂) |
제수(弟嫂)씨 |
생(生), 나 |
제수(弟嫂) |
영(令)제수씨 |
저, 나, 아우, 동생, 사제(舍弟) |
누나[姉] |
누나, 누님, (여)언니 |
저, 나, 동생 |
자씨(姉氏),매씨(妹氏) |
영(令)자씨 |
저 |
누이동생[妹] |
이름이나 별명, (문) 사매(舍妹),(시)작은아씨, 시집성을 따라 < >서방댁 |
나, 오빠, 오라비 |
내누이, 사매(舍妹) |
영(令)매씨 |
저, 나, 동생 |
시누이 |
손위아래관계없이 "서방님" |
처남댁 |
시누이남편 |
시누이남편 |
|
백숙부(伯叔父) |
큰아버지(님), 이하는 차례에 따라 둘째,셋째아버지 |
저, 나, 조카 |
큰-사백부(舍伯父) |
백완장(伯阮丈), 중완장, |
나, 큰애비, 작은애비 |
백숙모(伯叔母) |
위의 아버지 대신 어머니를 부른다. |
(위와 같음.) |
부대신 모를 넣어 부른다. |
백모부인, 중모부인, 숙모부인 |
나, 큰에미, 작은에미 |
고모(姑母) |
아주머니, 고모님, |
저, 나 |
비고모(鄙姑母) |
존고모부인 |
|
고모부(姑母夫) |
아저씨, 고모부님 |
저, |
비고숙(鄙姑叔) |
존고숙장 |
|
당숙(堂叔)부모 |
아저씨, 아주머님 |
저, (문)종질(從姪) |
비종숙(鄙從叔) |
종(從)완장(阮丈) |
아재비 |
2. 외가(外家) | |||||
대상자 |
내가 부를 때 |
나를 부를 때 |
내가 남에게 말할때 |
남이 나에게 말할 때 |
나에게 자신을 말할때 |
외(外)조부 |
외할아버지(님), |
저, 외손 |
외왕부(外王父) |
외왕존장(外王尊丈) |
나 |
외조모 |
외할머니(님),외조모 |
(외조부와 같음) |
외조모 |
외왕대부인 |
|
외숙(外叔) |
아저씨, 외숙<모>님 |
저, 생질(甥姪) |
비(鄙)외숙<모> |
귀(貴)외숙<모> |
나, 아재비<아지미> |
이모(姨母) |
아주머니, 이모 |
저, 이질(姨姪) |
비(鄙)이모 |
귀(貴)이모(姨母) |
나 |
3. 처가(妻家) | |||||
대상자 |
내가 부를 때 |
나를 부를 때 |
내가 남에게 말할때 |
남이 나에게 말할 때 |
나에게 자신을 말할때 |
장인(丈人) |
장인어른, 빙장(聘丈)어른, |
저 |
비(鄙)빙장(聘丈) |
귀악장(貴岳丈) |
나, |
장모(丈母) |
장모님, 빙모(聘母)님 |
(장인과 같음) |
비(鄙)빙모 |
존(尊)빙모부인 |
나 |
사위 |
(장모가) < > 서방 |
나, |
사위, 서아(參兒) |
서랑(壻郞),현윤(賢潤) |
저, 생 |
'♣ 유익한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름다운 한글 이름 (0) | 2012.10.08 |
---|---|
[스크랩] 띠별로 보는 인연 (0) | 2011.12.26 |
[스크랩] 촌수와 호칭 (0) | 2011.12.26 |
[스크랩] 명절 차례상 차림 순서 (0) | 2011.12.26 |
화장품 유효기간 (0) | 201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