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수의학
자연환경의 심각한 오염 등으로 인하여 먹거리가 위험을 받고 있는 현시점에서 웰빙이니 하는 말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상황에 와 있는 실정이다
野菜등 농산물도 무공해 식품이다 유기농법이다 해서 自然的인 食品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흘려가고 있는 것을 메스콤을 통하여 자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축산물 또한 항생제의 오남용은 말 할 것도 없고 人工 添加物(인공첨가물) 등 自然에 위배되는 인위적인 營養供給으로 인하여 국
민건강이 위해를 받을 수 있는 점을 감안 할 때 자연치료 方法中(치료중)의 하나인 鍼灸術(침구학)은 비교적 간단히 시술 할 수 있으며 副作用(부작용)이 적으며 우수한 効果를 기대 할 수 있으며 生體 스스로 治癒가 가능한 자연치유 방법으로 축산물 생산비용의 절감효과는 물론이고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바는 가희 획기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動物鍼灸術은 우리고유의 의술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醫術(의술)로 자리를 잡고 있었으나 현재는 전무한 상태에 있으며 오히려 外國으로 動物鍼灸治療法(동물침구치료법)을 도입해야 하는 실정에 놓여있는 현실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 동물침구술의 역사
삼국시대로 올라가 1399年 趙浚 金士衛(조준 김사위) 등이 1)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2권을 발간하였고 이 책은 현존하는 최고의 動物鍼灸術 서적이다
백제시대 고이왕 때는 獸醫라는 관직이 있었고, 阿直岐(하직기)가
2)馬經大全(마경대전) 3)元亨療馬集(원형요마집) 등의 獸醫書를 도입했다고 하며 고구려의 혜자는 일본에 獸醫術을 전수해 주었다고 한다.
고려시대는 獸醫와 獸醫博士 직제가 있었이며, 조선시대 獸醫鍼灸學의 역사는 세조 때는 서거정이 4)馬醫書를 편찬하였고, 정종 때는 5)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가 發刊 되었고 성종때는 李昌臣 李据 등에 6)安驥集諺解(안기집언해) 7)水牛經諺解 1541년에는 8)牛羊猪染疫病治療(우양저염역병치료)9)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우마양저염역병치료) 이 간행 되었고 1613년 9)考事撮要(사고취요) 1634년 10)新刻參補鍼醫馬經大全(신각삼보침의마경대전)등이 간행 되었다고 한다
2 動物鍼灸術의 起源 (2004-10-24)
옛날에는家畜이 軍事用 체신용(파발마) 운송수단(馬) 농경수단 식용(牛) 또는 소득증대의 目的 으로 장려 할 수 밖 에는 없었을 것으로 생각 된다
◦ 그러나 그 시대는 지금처럼 의료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특별한 治療 方法이 없었을 것이므로 자연적인 治療方法에 의하였을 것으로 생각 되는데 그 방법이 鍼灸에 의한 치료 방법 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 李太祖 이성계는 咸興에 都連蒲牧場을 설립하여 경영하였다는 기록을 보면 축산장려에 대한 관심에 높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家畜의 疾病을 鍼과 灸(뜸)으로 치료하는 原理는 인체의 치료 원리을 응용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東洋醫學(鍼灸學)의 원리를 가축에 응용한 것으로 그 시조라 할 수 있는 사람은“ 伯樂 ” 이라 한다
모든 생물은(동물은 물론이고 식물) 경락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침과 뜸을 이용하여 스스로 치유 할 수 있는 능력을 扶養 해주는 역할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치유 효과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침과 뜸의 치료방법이다
3
1 動物鍼灸學의歷史(2004-11-8)
1) 東洋獸醫學의 歷史
① 殷商시대(BC1300-1027)
기도나 呪術(주술)에 의하여 疾病을 治療 하는 方法을 使用 하였는데 이를 巫醫(무의)라 하였고 이러한 獸醫를 巫馬라 하였다
② 西周時代(BC 1927-771) 11C- 8C
獸醫 기관이 設置 되어 獸醫師가 出現 되었다고 한다.(獸病:내과질환, 獸瘍: 외과질환)을 治療 하는 專門 獸醫官의 제도가 있다고 한다(주례)
③ 춘추전국시대(BC 770-221, 8C-3C)
陰陽五行學說의 완성시기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獸醫學이 발전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家畜의 閹割術(엄활술) 去勢術이 시작된 時期 이기도 하다. 마왕퇴의서 中 足臂十二脈灸經, 陰陽十二脈灸經 등에서 보듯이 침구경락 학설이 형태을 갖추어 가는 時期이 기도하다.
춘추시대 秦의 孫陽(伯樂장군 BC 9C)의 伯樂鍼經은 현존하는 최고의 수의 침구학 서적이다 백락장군은 특히 馬의 疾病을 잘 치료했다고 한다
④ 진한시대(BC221-220)
고대의학의 형성시기 이며, 이 시기에 신농본초경이 저작 된 시기이다.
漢代 초기에 元亨療馬集에 말의 거세 방법 中 火割 水割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체질이 약한 말은 火割을, 강한 말은 水割의 方法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⑤ 魏晋 南北朝時代(BC 220-AD581)
醫藥學과 牧畜學의 발전시기이다 隋朝(AD581-619): 隋時代에는 9種의 수의 전문서적인 療馬方 一권, 伯樂治 馬雜病經 一권, 兪極選馬經 3권, 治馬經 四권, 治馬經目 一권, 雜選馬經, 馬經孔穴圖 一권, 雜選馬經 一권, 治馬牛駝騾等經 三권, 治馬經 三권, 등이 저술 되었으나 現存하지는 않으며, 남북조시대의 劑民要術과 肘時備急 方에 일부가 있을 뿐이다
⑥ 唐代(AD 618-907)
太仆寺內에 獸醫博士 제도가 있어 교육을 맡아서 行하였으며, 이 시대에는 養馬가 가장 번성한 시기이기도 하다. 당나라 말기 李石은 司牧安驥集을 저술하였고, 宋代 초기에 사목안기집 論三권과 方 一권이 말기에는 八권으로 증보되어 宋代의 주요한 獸醫 서적이다
⑦ 宋時代(AD930-1279)
創擧(창거)제도가 있어 群牧司內에 藥蜜庫가 설치되고 監庫官 二名이 獸醫用 당밀 약물을 管理 하였다고 한다. 北宋時代의 저작으로는 玉愈(옥유)가 蕃牧纂驗方(번목찬험방), 南宋初期(AD1192) 七十二惡汗病原歌 等으로 獸醫學의 診斷과 치료학이 發展 되었다..
⑧元時代(AD 1271- 1368)
卡管구(잡관구)에 集注인 痊冀通玄論(전기통현론)등이 있으며, 馬의 便秘症치료법이 논술되어 있는 중요한 고전이다.
⑨明時代(AD 1368-1644)療馬集: 유본원 유본형이 六十年에 걸쳐 저술 하였고 丁賓(정빈)이 療文을 붙여 元亨療馬集이라고 한 이 책은 獸醫學의 一代의 저작으로 알려지고 있다
⑩淸時代(AD 1631-1911)
이자옥은 원형요마집의 내용을 증감시켜 이론과 실용가치를 强化 하였으나 漢민족의 반란을 警戒 하기 위한 방편으로 馬의 사육을 금지하여 말의 진단과 치료학의 발전은 停滯 되었으나 오히려 農耕의 발전으로 소의 질병 진료는 발전 되었다 한다.( 養耕集) 淸末에는 豚病이 유행하여 豚經大全 등이 대표적인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은 전쟁수행에 필수적인 말의 필요로 인하여 말의 사양에 대한 진단과 치료학이 발전 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현대(淸朝)로 들어서면서 外勢의 압력으로 인하여 獸醫學의 발전은 방해을 받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2) 우리나라의 獸醫鍼灸學의 歷史
① 우리나라 수의침구학의 역사는 백제 고이왕 때부터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데 그 당시에는 獸醫라는 관직이 있었고 阿直岐가 중국으로부터 馬經大全, 원형요마집 과 수의서적 뿐만 아니라 藥劑을 도입하였다고 한다
② 高句麗 時代는 헤자가 일본에 獸醫鍼灸學을 전수한 것이 日本의 수의침구학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③高麗時代는 獸醫와 獸醫博士 제도가 있었다고 한다
3) 朝鮮時代의 獸醫鍼灸學의 歷史
① 馬醫書: 세조 時 서거정이 편찬하였고
② 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 定宗 時(1399年) 趙浚 金士衡 權仲和 韓尙敬에 의하여 鄕藥劑生集成方에 붙어서 出刊 되었다고 한다.(우리나라에서 現存하는 最高의 獸醫書 라고 한다. 그러나 不幸하게도 木版本은 일본의 三木 淸이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③ 李昌臣 李琚 權五福 등에 의하여 1494年에 安驥集(안기집) 水牛經을 번역을 한 것이 성종 실록에 그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한다
④ 1506년에서 1545년 고려시대 李文烈이 편찬한 鷹鶻方(응골방)을 李爓(이염)이 증보하여 刊行 하였다
⑤ 중종36년(1541년) 牛羊猪傳染病治療方이 校書館에서 간행 되었다(평안도 지방에 소 질병이 유행하여 왕명에 의하여)
⑥ 1613년 考事撮要 에는 牛疫方 牛癖方 등이 있다
⑦ 李曙(이서)는 1623-1632年에 馬經抄集諺解을 간행하였다(일반인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글로 풀이 한 책이다)
⑧ 1634年에는 新刻參補鍼醫馬經大全을 간행했다(明나라 馬師間의 馬經大全 을 4계절로 나누어 놓은 책이다)
⑨ 1715년 洪萬選의 山林經濟 에서도 수의학에 관한 자료가 있다고 한다
이 밖에도 圖像水黃牛經大全(중국의 수의학서적), 考事新書 등 이 있다
현대로 들어서면서 新鍼療法, 鍼痲醉, 電鍼療法을 개발 한 것으로 생각된다
4
鍼의 작용기전(2004-11-12)
鍼은 經絡을 疏通시킨다 “通則不痛 不通則痛” 기혈이 소통되면 통증이 생기지 않고, 氣血이 통지 않으면 痛症이 생긴다“ 그러므로 경락을 소통시켜 통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營衛氣血(영분 위분 기분 혈분)의 調和로 外感(外邪-外部病邪의 浸濕))으로 인한 風寒邪 등 의 痛症 등을 치료한다
⌌靈樞刺節眞邪⌟에서 “用鍼之類 在於調氣” ⌜靈樞官能⌟ “用鍼之要 無忘其神“⌜靈樞 平人節穀⌟ ” 血脈和利 精神乃居 라 했다
장부경락 氣血의 調和를 회복시겨 면역력을 강화 시키는 방법이고 적절한 補瀉의 運營은 虛實을 조절하고 正氣를 扶養함으로 邪氣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뜸(灸)의 방법은 溫經散寒 溫通血脈의 조화효능이 있다 靈樞禁服 “陷下則灸之...... 陷下者 脈 血結於中 中有著血 血寒 故宣灸之라 하였다
寒邪로 인하여 凝滯 凝結된 경우 溫法으로 邪氣를 除去 하는 방법이다(溫鍼療法燒烙法)
1) 침 자극은 氣血의 不調和를 調節하여 疾病의 治療와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2) 직접 신경에 작용하고 手技에 따라 그 刺戟의 强弱에 따라(여려 형태로 加減함으로서 변화를 가져오며 신경을 조절하여 효과를 나타낸다)
3) 동물의 大腦(원심성 섬유, 구심성섬유)
① 원심성섬유는 신경중추의 興奮을 平易하게(운동성섬유) 手足의 動作血管의 박동 임파선 에서 분비작용에 관여한다
② 구심성섬유: 體外로부터 온 감각을 신경중추에 전달하는 작용(지각섬유)
③ 神經의 지각이 둔할 때 마비현상이 일어 날 수 있으며- 鍼은 이것을 興奮 시켜 양성전 기와 陰性 전기가 서로 교류하여 그 사이에 하나의 전기를 발생하여 疾病을 치료한다는 것이다
4)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이 증가하여 食菌力의 强化, 血液凝固性血糖量 증가 血液中 칼슘 량이 증가하여 면역기능을 증대 한다는 것이다
5) 人體에 있어서 鍼 治療 작용
①흥분작용: 기능이 약한 神經機能에 鍼 刺戟은 약해진 기능을 회복하려는 생체 본원 의 기능을 부양 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리려는 기능,直達興奮작용: 筋肉을 직접 刺戟하여 그 疾患을 조절하는 방법, 좌골신경 경골 비골 신경의 경로에 직접 자극시켜 조절하는 것 介達興奮작용: 직접자극이 불가능한 장기와 직접 자극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도 그것을 피 해야 할 중요 장기인 경우 예: 심장
②制止作用: 기능이 이상하게 항진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제지 진정하는 작용
③ 유도작용: 혈행 조절작용
④ 면역작용 이라 할 수 있다
1 鍼의 종류(2004-11-12)
침의 종류 “ 黃帝內徑 靈樞編 九鍼十二原 第一法天)” 참침 원침 시침 봉침 피침 원리침 호침 장침 대침 등의 9종류를 九鍼이라 한다
① 毫鍼(호침): 가장 많이 사용하는 鍼으로 주로 동통성질환 마비성 질환을 治療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에 사용하는 호침을 생각하면 무난하리라 생각한다(直刺 斜刺 平刺 捻轉 透刺 深刺)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침의 길이는 다양하고 비교적 긴 침을 말한다
②圓利鍼(원리침): 鍼尖은 삼릉침이고 白鍼을 시술할 때 사용하는 鍼으로, 침을 쥐기 편리하 므로 刺鍼과 拔鍼이 편리하고 毫鍼과 대등하게 사용하는 鍼이다
③寬鍼(관침):대관침은; 말 소 등 大動物의 頸脈穴 腎堂穴 蹄頭穴 등 出血시킬 때 많이 사 용 소관침 재료는 스테레스선이나 합금속선을 사용하여 만든 것
④ 三稜鍼(삼릉침): 대삼릉침과 소삼릉침이 있다 鍼의 前半鍼身은 삼능형이고 鍼先은 창과 같은 稜의 형태로 사혈할 때 또는 水腫을 난자할 때 사용 한다 길이는 대삼능침의 길이는 약 8Cn 이고 소삼능침은 약 4Cn 정도이다
⑤ 穿黃鍼: 腔孔에 형성된 병변부위에 刺鍼하고 排液할 때 사용하는 침 대관침과 비슷한데 침 끝에 작은 구멍이 있어 줄을 꿰어 염증 종창이 있는 곳에 透刺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침이다
⑥ 火鍼: 鍼身을 불로 加熱하여 刺鍼하는 鍼 內部에 석면 등의 不導體物質을 사용하여 熱이 손잡이에 전도되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시술부위는 후문혈 백회혈 창풍혈 사기혈 등이고 가열하는 방법은 침병에 탈지면을 감고 기름(식물성)에 적신다음 불을 붙여 달지면이 완전히 타면 재를 除去後 자침한다 補法으로 시술하는 것이 보통이고 3일 이내는 비을 맞지 않게 하고 물 또는 진흙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여 이차감염을 방지한다
⑦ 夾氣鍼(협기침): 대나무 또는 금속 재질 침점은 둔한 원형이다 대동물의 협기혈(경혈)에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침
⑧ 眉刀鍼(미도침): 일반적으로 돼지에 침을 놓을 때 혹은 소관침으로 대용하기도 한다
2 시술방법 및 효과
1)취혈방법
①외관체형(外觀体形)취혈법
②해부위치(解剖位置)취혈법
③늑골동신촌(肋骨同身寸) 취혈법
④미골동신촌(尾骨同身寸) 취혈법
⑤구간등거리(軀幹等距離)취혈법
⑥구간부상용혈(驅幹部常用穴)
⑦지량법(指量法)
2)治療法의 유형
①국소자극요법: 비 특이적인 자극을 가하여 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시술(燒烙 鍼灸 등)방법
②냉엄법 및 빙엄법: 냉각으로 극소혈관을 수축시키고 신진대사를 억제하여 진통과 삼출 기전의 억제작용이 있다. 급성염 등에 이용
③온염법: 溫熱작용을 가하여 국소에 충혈을 일으켜 흡수를 촉진하고 소염 진통효과을 기대
④맛사지: 국소의 血行促進 末梢神經의 기능회복 국소의 신진대사 촉진에 이용된다(급성 화농성염의 처리는 금기이다)
3)鍼灸療法의 종류
①白鍼療法: 穴位에 刺鍼하되 출혈은 시키지 않고 10-20분간 유침 시키는 방법
②血鍼療法: 三稜鍼이나 寬鍼으로 출혈을 시키는 방법
③火鍼療法: 鍼을 뜨겁게 한 후 穴位에 刺入하는 방법
④쑥뜸요법 : 쑥에 불을 붙여 동물의 穴位에 溫熱刺戟을 주는 방법
⑤燒烙療法: 철로 된 도구를 달구어 피부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만성관절염 만성병 굴근건 염 루마티스 등에 응용하는 방법
⑥부항요법: 컵 모양의 도구를 피부에 접촉시켜 국소의 어혈을 풀어주는 방법
⑦약침요법: 침자극과 약물의 효과를 결합시킨 新鍼療法의 일종이다
⑧蜂毒療法: 벌의 毒을 추출 가공하여 穴位에 미량 주입하는 방법 이다
⑨耳鍼療法: 動物의 귀 부위에 滋鍼하여 治療效果를 유도하는 요법이다
⑩추나요법: 手技法을 통하여 穴位 관절 등을 조작하여 치료하는 방법
⑪전침요법: 침을 刺入하고 적당한 전류를 흘려 穴位을 자극하는 방법
⑫레이저침요법: 레이저 광선으로 穴位를 자극함으로 치료 효과를 유도 하는 방법
⑬자석요법: 穴位에 鍼에 의한 자극과 磁場에 의한 자극을 동시에 가하여 치료하는 요법
4)施術效果
①內科 外科 産科 운동마비 中署 소화불량 食滯 食慾不振 등에 치료효과가 현저하다
② 빠른 치료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약으로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없다)
③豫防的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春秋放大血, 消除五臟熱: 봄과 가을에는 瀉血을 많이 하 여 오장의 熱을 제거한다)
④기술 습득이 비교적 쉽고 조작이 간편하여 예기치 못한 사고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비 교적적다
⑤기구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