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는 槃涅般에 드시기 전까지 45년간이라는 기간을 쉬지 않고 慈悲心으로 중생들을 한 사람이라도 더 苦의 진리를 깨닫게 하고 苦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모든 眞理를 숨김없이 가르쳐 주고자 했으며.
자신을 신격화하여 높은 자리에 앉거나 모든 사람들 위에 군림 하지도 않았고, 언제나 청정하게 모든 출가자들과 중생들과 똑같이 좋은 친구로서 자신의 위치를 자리 매김을 했습니다.
붓다의 하루 생활은 육체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자신만의 시간을 제외하고는 모든 시간을 佛法을 가르치는데 보냈습니다.
붓다의 홀로 있을 때의 내적 삶은 주로 구도자로서의 끊임없는 수행과 그 기쁨(涅般)을 경험하는 것이었고, 외부적으로 활동적인 삶은 모든 중생들을 윤리적 도덕적 삶을 살아가게 함과 동시에 정신적으로는 한단계 보다 성숙된 진리의 빛을 보게하기 위한 大慈悲心을 베푸는 생활 이었습니다.
붓다 그 분은 최선을 다해서 중생들이 윤리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가르치고 또한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온 힘을 쏟았던 분이셨읍니다.
붓다의 하루 생활은 크게 다섯으로 구분 됩니다. ⑴오전 ⑵오후 ⑶초저녁 ⑷한밤중 ⑸새벽녘
⑴ 오전 (오전4시∼12시)
5시부터 6시까지는 붓다의 千里眼(mental eye) 으로 세상의 모든 중생들을 둘러보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으면 도와주시거나, 또는 그 사람의 앞에 나타나는 神通力을 이용 하시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때 이른 아침에 마을에 가시는 주요 목적은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 였습니다.
붓다는 제자들과 또는 홀로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즉시 그곳으로 달려 갔습니다.
在家자 들로부터 점심 공양 초대가 없는 날이면 제자들과 직접 발우를 들고 집집마다 탁발을 하였습니다.
경전에는 이때 붓다의 탁발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습니다.
"붓다는 집과 집을 다니면서 대문 앞에서 눈을 땅에 고정시키고 발우를 조용히 들고 있었으며 재가자들은 음식을 발우에 담아 드렸다. 물론 어떠한 음식을 발우에 넣더라도 붓다께서는 이를 거절 하시지 않으셨고, 좋다 나쁘다 말하지 않았다."
팔십이 다 된 나이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아랑곳 없이 자신의 먹을 음식을 얻기 위해 직접 탁발을 다녔습니다. 어느 누구에게도 자신의 음식을 대신하여 탁발 받아 오도록 시키지 않았습니다.
붓다는 정오 전에 공양을 마쳤습니다. 이는 오늘날 오후 不食이라는 계율로 남방 불교에서는 엄격하게 지키고 있습니다.
또한 각자에게 맞는 수행법과 명상의 주제들을 일러 주었고 수행승들은 이를 받아 지녔습니다.
수행승들이 돌아가고 나면 大慈悲 三昧(Mahakaruna Sannpatti)에 들어가서 붓다의 慧眼으로 세간사를 살폈으며 또한 자신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으면 언제든지 그곳을 달려 갔습니다.
특별한 일이 없는 날이면 늦은 오후 쯤 되면 자신의 설법을 듣기 위해서 대중들(在家신도와 수행僧들)이 모여 있는 法堂(설법장소)으로 가시어 그들을 위해서 법문을 하셨다.
붓다는 불안(佛眼)으로 각자의 타고난 기질과 근기를 파악해서 법문을 하셨습니다. 부자와 가난한 자, 지위가 높고 낮은자 등 여러층의 중생들이 모두 모였지만 붓다의 法門은 언제나 그들 각각 개개인의 根機에 맞게 특별히 와 닿게끔 그리고 쉽게 이해가 되도록 하셨습니다.
이것은 법을 가르치는 붓다의 탁월한 방법이었습니다. 붓다와 아라한의 경지에 이른 제자들과의 차이는 바로 중생들을 교화하는 능력의 차이기도 합니다.
평범한 자들에게는 보시(베푸는 것)와 五戒와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베풀고 지킴으로써 얻는 공덕을 가르쳐 주시고 , 이를 충분하게 이해하고 마음으로 받아 들인 사람들에게는 八正道와 出家의 공덕에 대해서 說法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四聖諦의 眞理를 가르쳐 주었습니다.
이러한 붓다의 설법 방법을 점진적 설법이라고 하며, 이는 붓다가 45년간 지켜온 설법의 원칙 이었습니다.
⑶ 초저녁(저녁 6시∼10시까지)
또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간혹 일반인들이 붓다를 찾아와 설법을 듣기도 했습니다.
⑷ 한밤중 (밤 10시∼새벽 2시까지)
⑸ 새벽녘 (오전 2시∼4시까지) 3시부터 4시 사이에는 오른편으로 누워서 의식이 깨어있는 상태로 잠을 청했습니다.
그리고 조용한 시간이면 모든 살아 있는 존재들에게(有情物. 衆生) 행복하고 안락하고 편안하도록 사랑(Metta)의 마음을 보냈습니다. (慈悲觀 수행에 보면 慈悲의 마음을 다른 有情物들에게 보내는 부분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 우리 일반인들도 가능한 방법임)
부처님의 마음은 오직 하나, 즉 '衆生들이 어떻게 하면 도덕적 윤리적 삶을 살면서 한 단계 높은 정신적 발전을 이루고 또한 행복하고 안락하고 편안한 삶을 보낼 수 있게 할 수 있는가'라는 大慈悲心 뿐 이었습니다.
붓다가 보내신 45년간의 하루 하루는 언제나 바쁘고도 慈悲心에 넘치는 하루였습니다.
실론섬이 합장 합니다. 모두 행복하시고 건강하십시요.
|
'★ 불교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니-천수천안관음탱화 (0) | 2007.10.18 |
---|---|
[스크랩] 부처님 일대기 그림(八相聖圖) (0) | 2007.01.05 |
[스크랩] 비로자나불 (0) | 2006.12.26 |
[스크랩] 풀냄새나는 원성스님 그림모음 (0) | 2006.12.26 |
[스크랩] 오대적멸보궁 둘러보기 (0) | 2006.12.26 |